청소년의 사랑 감춰친 10대의 이성교제
2013년의 오래된 자료이기는 하나, 10대의 자녀를 기르는 나로써 그리고 교육자의 길을 걷는 내게 많은 울림을 주는 학술자료였다. 청소년들의 사랑.. 10대들의 사랑이라는 것 자체가 참으로 아름다운 말이지 아니한가?
위 자료의 대략의 목차이다
https://scholar.kyobobook.co.kr/journal/detail/2042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의 등재정보, 간행물종류, 발행기관, 발행주기 등 간행물 정보 및 해당 간행물 이용수, 최근 권/호 논문, Best 수록논문 목록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scholar.kyobobook.co.kr
전체 자료보기는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아무래도 미성년자들의 사랑과 교제에 대해 많은 우려들이 많은 것이 사실인 만큼, 여러챕터 중에 " 청소년기 이성교제의 문제점" 챕터에 관심이 쏠렸다.
1. 부정적인 정서
청소년은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보다 남자/여자친구와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더 많이 하며, 이러한 부정적인 관계는 사회적 불안과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관계 안에서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여자 아이들의 우울과 관련된 인지적 취약점과 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여자아이들이 남자 아이들과 깊은 이성적 관계를 또래에 비해 빨리 가지는 경우, 플라토닉한 관계보다 우울증의 증세와 더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또래 친구들이 이성친구와의 관계를 승낙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가 있다. 하지만 이성 교제의 경험에서 가장 강렬한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것은 바로 헤어짐인데, 청소년 시절의 이성 교제는 자주 시작되고 끝나지만 모든 청소년들이 이러한 상실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헤어짐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시도의 가장 큰 예측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난다(Monroe, Rohde, Seeley, & Lewinsohn, 1999; Santrock, 2001). 따라서 청소년이 이성교제를 하는 동안에, 그리고 무엇보다 이성교제가 끝난 후에 그 슬픔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이들의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간과할 것이 아니라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Furman et al., 2008;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2. 성적인 위험
이성관계에서 성적인 부분을 협상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청소년기의 성관계는 원하지 않은 임신이나 성적 질병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APA), 심각한 성적 행위들은 우울증, 폭력, 약물 남용, 가정의 불화, 낮은 성적, 낭만적 관계의 낮은 질과 같은 수많은 문제들과 연관이 있다(Collins & Furman, 2009).
3. 데이트 폭력
이성 교제는 심각한 데이트 폭력과 공격성 같은 심각한 위험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처음에 언급했듯이 서울시의 고교생 1,196명을 대상으로 한 이성교제폭력 실태조사 결과, 이성교제 시 폭력을 경험한 고교생은 22.6%로, 다른 통계들과 비교했을 때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양혜원, 신혜섭, 2006). 데이트 폭력(dating violence)은 불안, 우울, 자살에 대한 생각,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세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Furman et al., 2008).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연애' 주제 프로그램에서 10대들의 마인드맵 자료도 소개되어있다.
간단히 위 챕터를 소개하며, 많은 사례들을 소개하며 결론내린 <건강한 성을 누릴 수 있는 인간의 조건>에 대해 작성해본다.
<건강한 성을 누릴 수 있는 인간의 조건>
자신의 신체를 인정하기
남성 및 여성과 정중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기
적절한 방식으로 사랑과 친밀감 표현하기
가족, 또래, 파트너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착취적이고 남을 조정하는 관계 피하기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 갖기
일생 동안 자신의 성을 표현하고 즐기기
다른 성적 가치와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인내심 보여주기
성 정보를 지키려는 사람들의 권리 인정하기
특정한 사람들의 성에 관한 고정관념 거부하기
출처 및 인용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편. (2013). 청소년의 사랑 감춰친 10대의 이성교제 .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57), 1-115.